화학3 유기물의 생체효율성 우리를 포함한 생물체의 다양한 구조와 기능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과 같은 유기물이 필수적이다. 먼저 유기물이란 무엇인가. 유기물(organic molecule)이란? 탄소(C)와 수소(H)를 기본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ex) 탄수화물, 단백질 등 그렇다면 이 알고보면 흥미로운(?) 유기물에 대해서 좀 더 파헤쳐보자. (하앍) 유기물의 특성 1. 안정성 유기물의 중심이 되는 탄소(C)는 원소주기율표에서 4족에 속하고 전기음성도(electro negativity)가 중간정도이므로 다른 원소들과 전기음성도 차가 그렇게 크게 나지 않아서 이온결합은 형성하지 않고 only 강한 공유결합만 형성한다. 강한 결합 = 안정 따라서 유기물은 매우 안정하다. 2. 다양성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탄소(C)는 원소.. 2020. 3. 1. 용액의 농도 오늘은 용액의 농도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보통의 농도라고 하면 용액 100mL를 기준으로 용질이 몇 g 들어있는가를 기준으로 퍼센테이지(%)로 나타낸다. 하지만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데에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먼저 용어에 대한 개념부터 확실히 하고 가자. 용질: 녹여지는 물질 용매: 녹이는 물질 용액: 용질과 용매가 섞인 물질 그럼 이제 다양한 용액의 농도에 대해 소개하겠다. 1. 백분율 농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농도이다. 백분율 농도에서도 여러 개로 분류가 된다. (1) 중량 백분율(weight percentage) - 용액 100g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질의 g 수 (2) 용량백분율(volume percentage) - 용액 100mL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질의 mL의 수 (3) g 농도(gra.. 2020. 2. 25.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과 분석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란 황화수소(-SH)를 포함한 아미노산, 시스테인(Cys) 사이에서 형성되는 강한 공유결합이다. 전기적인력에 의해 형성되는 이온결합이나 수소결합 등 비공유결합과 달리 공유결합은 전자를 공유하기 때문에 그 인력은 강하고 그로 인해 pH나 열, 염의 농도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이 강력한 이황화결합을 분해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한 조치를 취해야한다. 바로 환원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미용에 이 원리를 사용한다. 바로 '파마'이다. 머리카락은 모근세포가 밀어낸 단백질, 즉 시스테인(Cys)의 복합체이다.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그들은 열을 가해도 쉽게 변하지 않고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는 강력한 이황화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2020. 2.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