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4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생체의 주에너지원이다. 탄수화물은 유기물로 극성을 띄어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다. 먼저 단당류는 탄수화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이다. 극성이고 무색이며 단맛을 내고 3~7개의 탄소로 이루어져있다. 이때, 탄소의 개수에 따라 삼탄당, 사탄당, 오탄당, 육탄당 등 이름이 붙여진다. 저번 포스팅에 올렸던 구조이성질체와 광학이성질체 복습차원으로 여러 단당류들을 그려보았다. 단당류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포도당에 대해 살펴보자면 포도당은 고리를 형성하면서 알파와 베타, 두가지로 나뉘게 되고 이는 영구적인 게 아니다. 계속 고리가 풀렸다 연결됐다를 반복하면서 알파와 베타가 바뀌기도 한다. 이당류는 단당류 2개가 결합을 하여 생성된다. 단당류 2개는 결합하면서 물을 내놓는 탈수축합반응으로 결합한다... 2020. 3. 7. 유기물의 이성질체 탄소(C)로 구성된 유기물(organic molecule)은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여 생체 구성과 기능에 적합하며 다양한 이성질체(isomer)를 포함하여 다양성이 극대화된다. 유기물의 이성질체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여기서 trans-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이고 cis-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이다. 지방산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구성하므로 위에서 언급되어 있는 유동성은 세포막의 유동성을 의미한다. 즉, trans-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세포막은 지방산이 곧은 모양이므로 소수성결합으로 붙어있어 유동성이 낮고 cis-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세포막은 지방산이 꺾여 있으므로 지방산 간의 간격이 넓어져 유동성이 높다. 하나로 캡쳐하고 싶었지만.... 컴맹인지라 그러하지 못했다. ((하나로 캡쳐하려고 하.. 2020. 3. 5. 유기물의 생체효율성 우리를 포함한 생물체의 다양한 구조와 기능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과 같은 유기물이 필수적이다. 먼저 유기물이란 무엇인가. 유기물(organic molecule)이란? 탄소(C)와 수소(H)를 기본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ex) 탄수화물, 단백질 등 그렇다면 이 알고보면 흥미로운(?) 유기물에 대해서 좀 더 파헤쳐보자. (하앍) 유기물의 특성 1. 안정성 유기물의 중심이 되는 탄소(C)는 원소주기율표에서 4족에 속하고 전기음성도(electro negativity)가 중간정도이므로 다른 원소들과 전기음성도 차가 그렇게 크게 나지 않아서 이온결합은 형성하지 않고 only 강한 공유결합만 형성한다. 강한 결합 = 안정 따라서 유기물은 매우 안정하다. 2. 다양성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탄소(C)는 원소.. 2020. 3. 1.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과 분석 이황화결합(Disulfide bond)란 황화수소(-SH)를 포함한 아미노산, 시스테인(Cys) 사이에서 형성되는 강한 공유결합이다. 전기적인력에 의해 형성되는 이온결합이나 수소결합 등 비공유결합과 달리 공유결합은 전자를 공유하기 때문에 그 인력은 강하고 그로 인해 pH나 열, 염의 농도에 의해 쉽게 끊어지지 않는다. 이 강력한 이황화결합을 분해시키기 위해서는 특별한 조치를 취해야한다. 바로 환원제를 이용하는 것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미용에 이 원리를 사용한다. 바로 '파마'이다. 머리카락은 모근세포가 밀어낸 단백질, 즉 시스테인(Cys)의 복합체이다.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그들은 열을 가해도 쉽게 변하지 않고 다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는 강력한 이황화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2020. 2.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