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도 해야지/잡다한 과학5 탄수화물 탄수화물은 생체의 주에너지원이다. 탄수화물은 유기물로 극성을 띄어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낮다. 먼저 단당류는 탄수화물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이다. 극성이고 무색이며 단맛을 내고 3~7개의 탄소로 이루어져있다. 이때, 탄소의 개수에 따라 삼탄당, 사탄당, 오탄당, 육탄당 등 이름이 붙여진다. 저번 포스팅에 올렸던 구조이성질체와 광학이성질체 복습차원으로 여러 단당류들을 그려보았다. 단당류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포도당에 대해 살펴보자면 포도당은 고리를 형성하면서 알파와 베타, 두가지로 나뉘게 되고 이는 영구적인 게 아니다. 계속 고리가 풀렸다 연결됐다를 반복하면서 알파와 베타가 바뀌기도 한다. 이당류는 단당류 2개가 결합을 하여 생성된다. 단당류 2개는 결합하면서 물을 내놓는 탈수축합반응으로 결합한다... 2020. 3. 7. 유기물의 이성질체 탄소(C)로 구성된 유기물(organic molecule)은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여 생체 구성과 기능에 적합하며 다양한 이성질체(isomer)를 포함하여 다양성이 극대화된다. 유기물의 이성질체에 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여기서 trans-지방산은 포화지방산이고 cis-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이다. 지방산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구성하므로 위에서 언급되어 있는 유동성은 세포막의 유동성을 의미한다. 즉, trans-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세포막은 지방산이 곧은 모양이므로 소수성결합으로 붙어있어 유동성이 낮고 cis-지방산으로 이루어진 세포막은 지방산이 꺾여 있으므로 지방산 간의 간격이 넓어져 유동성이 높다. 하나로 캡쳐하고 싶었지만.... 컴맹인지라 그러하지 못했다. ((하나로 캡쳐하려고 하.. 2020. 3. 5. 유기물의 생체효율성 우리를 포함한 생물체의 다양한 구조와 기능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핵산과 같은 유기물이 필수적이다. 먼저 유기물이란 무엇인가. 유기물(organic molecule)이란? 탄소(C)와 수소(H)를 기본으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ex) 탄수화물, 단백질 등 그렇다면 이 알고보면 흥미로운(?) 유기물에 대해서 좀 더 파헤쳐보자. (하앍) 유기물의 특성 1. 안정성 유기물의 중심이 되는 탄소(C)는 원소주기율표에서 4족에 속하고 전기음성도(electro negativity)가 중간정도이므로 다른 원소들과 전기음성도 차가 그렇게 크게 나지 않아서 이온결합은 형성하지 않고 only 강한 공유결합만 형성한다. 강한 결합 = 안정 따라서 유기물은 매우 안정하다. 2. 다양성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탄소(C)는 원소.. 2020. 3. 1. 용액의 농도 오늘은 용액의 농도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보통의 농도라고 하면 용액 100mL를 기준으로 용질이 몇 g 들어있는가를 기준으로 퍼센테이지(%)로 나타낸다. 하지만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데에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먼저 용어에 대한 개념부터 확실히 하고 가자. 용질: 녹여지는 물질 용매: 녹이는 물질 용액: 용질과 용매가 섞인 물질 그럼 이제 다양한 용액의 농도에 대해 소개하겠다. 1. 백분율 농도 -가장 흔하게 쓰이는 농도이다. 백분율 농도에서도 여러 개로 분류가 된다. (1) 중량 백분율(weight percentage) - 용액 100g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질의 g 수 (2) 용량백분율(volume percentage) - 용액 100mL 중에 포함되어 있는 용질의 mL의 수 (3) g 농도(gra.. 2020. 2. 25. 이전 1 2 다음